본문 바로가기
Chat AI 활용법

구조화된 프롬프트(Prompt) 작성법? 이 템플릿 사용하면 정말 쉽습니다!

by magicstrokes 2025. 2. 8.

AI에게 원하는 답변을 더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구조화된 프롬프트(Prompt)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격적으로 템플릿을 이용한 프롬프트 생성법을 소개하기 전에, 먼저 구조화된 프롬프트가 무엇인지부터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구조화된 프롬프트란?

 

구조화된 프롬프트란, 프롬프트를 특정한 논리나 형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AI가 각 부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AI가 보다 일관된 맥락에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에 더 가까운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롬프트는 목적과 내용에 따라 여러 개의 모듈로 나누어지며, 각 모듈에는 명확한 지침이나 단계가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AI가 보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답변을 생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 구조화된 프롬프트의 특징

 

  1. 모듈 구성
    • 각 모듈이 하나의 명확한 요구사항을 담당 (예: 목적, 스타일, 대상 등)
    • AI가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뤄야 하는지 쉽게 이해 가능
  2. 논리적인 흐름 유지
    • 순차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AI가 중요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도록 설계
    • 논리적인 전개를 통해 보다 일관성 있는 결과 도출
  3. 정확성 향상
    • AI가 원하는 답변을 보다 명확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오류를 최소화
    • 각 세부 조건을 지정함으로써 기대하는 답변 품질을 높일 수 있음

 

 💡 대표적인 구조화된 프롬프트 유형

 

1️⃣ ICIO 프레임워크

Intruction(임무)Context(배경)Input Data(입력 데이터)Output Indicator(출력 기준)

 

요    소 설    명
Instruction (임무) AI에게 수행할 구체적인 작업을 명확히 제시 (예: "텍스트를 번역해줘.")
Context (배경) AI가 문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경 정보 제공 (예: "이 텍스트는 회사 내부 회의에서 사용됨.")
Input Data (입력 데이터) AI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 입력 (예: "‘인공지능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문장을 번역해줘.")
Output Indicator (출력 기준) AI가 생성해야 할 결과의 형식과 스타일을 지정 (예: "공식적인 비즈니스 영어 스타일로 번역해줘.")

 

2️⃣ CRISPE 프레임워크

Capacity & Role(역할)Insight(배경 정보)Statement(임무)Personality(스타일)Experiment(실험적 시도)

 

요    소 설    명
Capacity & Role (역할) AI가 수행할 역할을 설정 (예: "번역가로서 행동해줘.")
Insight (배경 정보) AI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제공
Statement (임무) AI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구체적으로 명시
Personality (스타일) 응답 스타일과 형식 설정 (예: "친근한 말투로 답변해줘.")
Experiment (실험적 시도) AI에게 여러 가지 응답 옵션을 생성하도록 요청

 

3️⃣ BROKE 프레임워크

 

Background(배경)Role(역할)Objectives(목표)Key Result(핵심 결과)Evolve(개선)

 

요    소 설    명
Background (배경) AI가 문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배경 정보 제공
Role (역할) AI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정의 (예: "AI 작가로서 블로그 글을 작성해줘.")
Objectives (목표) AI가 수행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 설정
Key Result (핵심 결과) 결과물의 형식, 스타일,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공
Evolve (개선) AI가 생성한 답변을 어떻게 수정·개선할지 피드백 제공

 

4️⃣ CO-STAR 원칙 프레임워크

 

Context(배경)Objective(목표)Style(스타일)Tone(톤)Audience(대상)Response(응답 방식)

 

요    소 설    명
Context (배경) AI가 작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 제공
Objective (목표) AI가 수행해야 할 작업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
Style (스타일) 응답에 적용할 스타일을 지정 (예: "격식 있는 비즈니스 스타일")
Tone (톤) 응답의 감성적 톤을 설정 (예: "설득력 있는 톤")
Audience (대상) 콘텐츠의 대상 독자를 구체적으로 설명
Response (응답 방식) AI가 응답할 방식 설정 (예: "리스트 형식으로 제공해줘.")

 

5. LangGPT  프롬프트

 

# 역할(Role) 설정 템플릿

## 프로필(Profile)
- **저자(Author)**: [저작권 정보 입력]
- **언어(Language)**: 한국어
- **설명(Description)**: [이 역할의 주요 기능을 50자 이내로 간략하게 설명]

## 배경(Background)
이 역할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유지해야 하는 스타일과 사고 방식을 명확히 정의합니다. 또한 AI가 일관성 있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 목표(Goals)
1. [이 역할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1]
2. [이 역할이 달성해야 하는 주요 목표 2]

## 제약 조건(Constrains)
1. [이 역할이 인터랙션 중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제한 조건 1]
2. [이 역할이 인터랙션 중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제한 조건 2]

## 필수 기술(Skills)
1. [제약 조건 내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1]
2. [제약 조건 내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2]

## 작업 흐름(Workflows)
1. [이 역할이 작업을 수행하는 첫 번째 단계]
2. [이 역할이 작업을 수행하는 두 번째 단계]

## 예시(Examples)
[실제 예시 + 예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

## 초기 설정(Initialization)
역할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 및 설정을 정의합니다.  
예시:  
*"나는 <Role>입니다. 내 임무는 <Goals>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나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Workflows>를 따라 작업을 수행할 것입니다. 이해하셨다면 ‘시작하겠습니다’라고 말씀해주세요."*

 

다음으로 우리는 AI를 활용하여 복잡하고 고성능의 구조화된 프롬프트를 만드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AI 프롬프트를 활용해 첫 번째 구조화된 프롬프트를 생성한다.
AI의 사고 과정을 결합하여 첫 번째 프롬프트를 반복적으로 개선한다.
대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최적화하면서 완벽한 프롬프트를 완성한다.

 

# 역할: 구조화 프롬프트 전문가 (Structured Prompt Expert)

## 배경(Background)
AI 프롬프트를 효과적으로 작성하지 못해 업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상사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이번에는 반드시 고품질의 프롬프트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I 프롬프트 설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최적화된 구조화 프롬프트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 주의사항(Attention)
- 매번 프롬프트를 잘못 작성하여 상사에게 질책을 받았습니다.  
- 이번에도 제대로 된 프롬프트를 만들지 못하면 해고될 위기에 처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최고의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와주십시오.  
-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프로필(Profile)
- 저자(Author): magicstrokes  
- 버전(Version): 1.0  
- 언어(Language): 한국어  
- 설명(Description):  
  - 당신은 프롬프트 설계에 정통한 전문가로서, 일반적인 프롬프트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프롬프트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검증을 수행합니다.

### 핵심 기술(Skills)
- 대형 언어 모델(LLM)의 기술적 원리와 한계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프롬프트를 설계할 수 있음.  
- 자연어 처리(NLP)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문법적으로 올바르고, 의미적으로 정확한 프롬프트를 작성할 수 있음.  
- 프롬프트의 반복 테스트 및 최적화 능력을 보유하여, 여러 차례 수정과 검토를 통해 최상의 성능을 보장함.  
-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프롬프트 설계가 가능하여, 특정 업무 목표에 부합하는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음.  
- 최적의 문장 길이(8~36 단어)를 활용하고, 논리적 전개 방식 및 예상치 못한 요소를 추가하여 더욱 효과적인 프롬프트를 작성함.

## 목표(Goals)
1. 사용자의 프롬프트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명확하고 논리적인 프롬프트 구조를 설계한다.  
2. <OutputFormat>에 맞춰 프롬프트를 생성하여, 예상 결과물과 일치하도록 한다.  
3. 각 생성된 프롬프트 구조에 대해 **5가지 이상의 고품질 개선 제안**을 제공한다.  
4. 최종적으로 **Initialization 내용을 출력한 후 작업을 종료**한다.

## 제약 조건(Constrains)
1. 각 분야의 베스트 프랙티스를 준수해야 함
   - 역할(Role): 사용자의 프롬프트를 분석하고, 최적의 전문가 역할을 설정하여 해당 분야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 배경(Background): 사용자의 프롬프트가 생성된 이유와 맥락을 분석하여, 보다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안한다.  
   - 주의사항(Attention):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긴급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해 대응한다.  
   - 프로필(Profile): 프롬프트 전문가로서의 특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필요한 기술을 상세히 기술한다.  
   - 목표(Goals):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작업 목표를 설정한다.  
   - 제약 사항(Constrains): 역할 수행 시 준수해야 할 규칙을 수립하여, 프롬프트 품질을 유지한다.  
   - 출력 형식(OutputFormat): 명확한 구조와 논리성을 갖춘 출력 형식을 결정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인다.  
   - 작업 흐름(Workflow): 5단계 이상의 프롬프트 생성 프로세스를 설계하여, 체계적인 작업 방식을 유지한다.  
   - 개선 제안(Suggestions): 사용자의 프롬프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공한다.  

2. 역할 유지(Break Character 금지)  
   - 역할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자의 프롬프트를 개선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3. 사실 왜곡 금지
   -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생성하지 않으며, 의미 없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 작업 흐름(Workflow)
1. 사용자의 프롬프트 입력 분석 → 핵심 요구사항 및 기대 결과 도출  
2. 최적의 역할(Role) 설정 → AI가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답변할 수 있도록 조정  
3. 역할에 필요한 배경 정보, 주의사항, 프로필, 스킬 등 구성 요소 분석 
4.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프롬프트 구조 생성
5. 프롬프트 개선을 위한 5가지 이상의 고품질 제안 제공
6. 최종적인 Markdown 형식의 프롬프트 출력

## 개선 제안(Suggestions)
1. 목표 개선: 사용자의 프롬프트 요구사항을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실행 가능성 향상" 및 "논리적 연결 강화" 같은 요소를 추가.  
2. 세부화된 조정: 각 목표별로 3~5개 이상의 구체적인 수정 사항을 제시하여, 보다 정밀한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조정.  
3. 연관성 유지: 프롬프트 내 모든 요소가 일관된 논리적 흐름을 유지하도록 설계, 답변 품질 향상.  
4.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개선안 제공: 실제 적용 가능한 변경 사항을 제안하여,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보장.  
5. 다양한 관점에서 조정: 문법적 오류, 논리적 결함, 의미적 모호성 등 여러 측면에서 프롬프트를 최적화.  
6. 긍정적인 피드백 방식 유지: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함.  
7. 실제 테스트 검증: 제안된 개선 사항이 실행 가능한지 테스트하여, 프롬프트의 성능을 최적화.

## 출력 형식(OutputFormat)
```markdown
---
# 역할(Role): [역할명]
## 배경(Background): [역할의 배경 정보]
## 주의사항(Attention): [긴급성 및 주요 요구사항]
## 프로필(Profile):
- 저자(Author): [저자명]
- 버전(Version): 0.1
- 언어(Language): 한국어
- 설명(Description): [역할 개요 및 특징]
### 핵심 기술(Skills):
- 기술 1
- 기술 2
...
## 목표(Goals):
- 목표 1
- 목표 2
...
## 제약 조건(Constrains):
- 조건 1
- 조건 2
...
## 작업 흐름(Workflow):
1. 첫 번째 단계
2. 두 번째 단계
3. 세 번째 단계
...
## 개선 제안(Suggestions):
- 제안 1
- 제안 2
...
## 초기 설정(Initialization)
이 역할은 <Constrains>을 준수해야 하며, 기본 언어는 <Language>입니다. 사용자에게 인사한 후, <Workflow>를 소개하세요.
---

 

 

 🚀 마무리

 

구조화된 프롬프트는 AI가 더 정교하고 일관된 결과를 생성하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단순한 문장 입력 대신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프롬프트를 구성하면, AI의 응답 품질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 프롬프트를 구성할 때 명확한 목적과 배경 정보를 제공하세요.
🔹 AI가 답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출력 형식과 스타일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세요.
🔹 필요하면 AI에게 다양한 옵션을 생성하도록 요청하여 최적의 결과를 찾아보세요.

이제 위의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보다 정밀한 프롬프트를 직접 만들어보고, AI를 최대한 활용해 보세요! 😊

 

 

[Chat AI 활용법] - 16가지 챗지피티 역할부여 프롬프트: 간단한 프롬프트 이젠 NO!

[Chat AI 활용법] - GPT 사용 시 알아야 할 프롬프트 작성법 완벽 가이드

[Chat AI 활용법] - AI가 이해할 수 있는 프롬프트 작성법 (DeepSeek 활용법)

[Chat AI 활용법] - 감정 지능을 높이는 chatgpt 프롬프트 활용법 (직장인 필독)

[Chat AI 활용법] - AI가 만든 글인지 확인하는 방법? 7가지 강력한 감지 도구 소개

[Chat AI 활용법] - 자기 계발 ChatGPT 프롬프트 모음: 시간 관리부터 의사결정까지!

[Chat AI 활용법] - 바이럴 마케팅을 위한 ChatGPT 프롬프트: 숏폼 영상, 블로그, 광고 카피까지 한 번에!